체질량지수(BMI)를 활용해 비반, 과체중의 지표로 삼으시는 분들이 많죠?
이 체질량지수(BMI)의 허점이 있다는 분석이 화재입니다.
체질량지수(BMI)만으로 비만을 진단하면 많은 비만 환자를 놓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됐다.
미국 국민건강영양조사(NHANES)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, 이중에너지방사선흡수계측법(DEXA)으로 측정한 총 체지방률에 따른 비만 진단율은 BMI만 활용했을 때보다 2배가량 높았다. 이는 BMI가 대사건강을 반영한 완전한 지표가 아니며 비만을 과소평가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.
연구 결과는 15~18일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된 미국내분비학회 연례학술대회(ENDO 2023)에서 공개됐다.
비만 진단율, BMI 30kg/㎡ 이상 36% → DEXA 총 체지방률 기준 74%
2011~2018년 NHANES의 DEXA 데이터에서 임신하지 않은20~59세 성인 9784명 데이터가 연구에 포함됐다. 평균 나이는 39세였고, 모든 참가자의 총 체지방 및 BMI가 계산됐다.
전체 참가자는 각 민족의 BMI에 따라 비아시아인은 저체중 18.5kg/㎡ 미만 / 정상 18.5kg/㎡ / 과체중 25~29kg/㎡ / 비만 30kg/㎡ 이상, 아시아인의 경우 각 18.5kg/㎡ 미만 / 18.5~22.9kg/㎡ / 23~27.4kg/㎡ / 27.5kg/㎡ 이상 등으로 분류됐다.
이어 BMI 또는 총 체지방률(BF%)을 기반으로 정상 또는 과체중 성인에서 비만 가능성을 평가했다. 총 체지방률에 따른 비만은 남성 25% 이상, 여성 32%이상으로 정의했다.
분석 경과, 단 36%가 BMI 30kg/㎡ 이상으로 비만으로 판단됐으나 DEXA로 측정한 총 체지방률에 따른 비만 진단율은 74%였다. BMI보다 총 체지방률로 비만을 확인했을 때 비만 진단율이 2배가량 높았던 것.
또 BMI기준상 비만에 해당하지 않은 군 64%중 DEXA에서 53%가 총 체지방량 기준으로 비만에 해당됐다. BMI 정상군 중 43%는 DEXA에서 비만으로 진단됐다.
그러나 추가분석에서 BMI에 허리둘레 측정을 더하면 비만을 잘못 분류할 가능성이 23% 줄었다. 또 BMI와 허리둘레를모두활용해 비만을 평가했을 때 DEXA에서 비만으로 확인된 군의 31%만 비만이 아닌 것으로 잘못 분류했다. 즉, BMI와 허리둘레를 함께 평가 시 DEXA에 따른 비만 진단과 69%일치했다.
출처 : 메디칼업저버(http://cms.monews.co.kr/news/articleView.html?idxno=324086)
'건강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체중 감량 방법 한 눈에 알아보자 (0) | 2023.07.02 |
---|---|
나는 비만 과체중일까? (0) | 2023.07.01 |
치열한 비만약 경쟁 속 최고 입증? 레타트루타이드 화제 (0) | 2023.06.30 |
비만 당뇨병 치료에 특효? 고용량 세마글루타이드 (0) | 2023.06.29 |
당뇨병 치료 혈당 강하의 효과를 보이는 신약, 올포글리프론 (0) | 2023.06.28 |